본문 바로가기
건강

"갑자기 어지러워요" - 전정신경염의 원인과 진단

by 닥터위키 - 상쾌한 건강 블로그 2022. 2. 9.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전정신경염은 이석증, 메니에르와 함께 우라나라 사람들에게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어지럼증의 원인중 하나입니다. 우리 귓속에는 몸의 회전과 중심을 잡아주는 평형기관이 존재하는데요. 이 평형기관과 명령을 주고받으며 뇌로 전달하는게 바로 평형신경, 다른말로는 '전정신경(vestibular nerve)'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이 전정신경에 염증이 생기거나, 신경주위의 혈관문제로 인해 심한 어지럼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바로 '전정신경염(vestibular neuritis)'이라 부릅니다.  

 

귓속에 위치한 전정신경 (초록색)

 

 전정신경염의 원인

 

  전정신경염은 주로 중년 남성, 여성에게 흔하게 발생합니다. 보통 어지럼증 클리닉에 환자들이 오면 10명중에 1명은 전정신경염을 진단받는데요. 안타깝게도 아직까지 전정신경염을 유발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많은 상태입니다.  

 

  전정신경염의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가설들이 있는데요. 먼저 바이러스 감염설은 대상포진 바이러스나 벨마비를 유바하는 바이러스의 잠복감염가 마찬가지로 평소 우리 몸속에 잠복해있던 바이러스가, 면역력이 떨어진 틈을 타서 전정신경을 감염시켜 극심한 어지럼증을 유발한다는 것입니다.

 

 

  전정신경염 환자들이 바이러스가 많이 퍼지는 봄과 초여름에 많이 발생하고, 같이 거주하는 가족들이 한번에 생기는 경우들이 있다는점이 이를 뒷받침합니다. 또한 전정신경염을 앓았던 환자를 부검하였을때, 귀 안쪽에 바이러스 감염의 흔적이 남아있었고, 동물실험에서도 인위적으로 바이러스를 주입하였을때 전정신경염과 비슷한 증상이 발생했다는 보고가 있었습니다. 즉, 우리 몸속의 전정신경속에 바이러스가 잠복감염의 형태로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한편 전정신경염의 원인이 전정신경 주위 혈관의 문제라는 주장도 있습니다. 전정신경은 전정동맥(vestibualr artery)에서 혈액을 공급을 받습니다. 이 미세한 전정동맥의 혈류가 일시적으로 줄어들거나, 혈관속의 혈전찌꺼기 때문에 전정신경으로 제대로된 혈액공급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결과적으로 신경세포가 상하게 되는 일명 '허혈성 손상'이 발생하여 극심한 어지럼증을 유발하다는 것입니다.

 

 전정신경염의 진단 (1) 신체검사

 

  전정신경염의 원인이 애매한 만큼 아직까지 전정신경염에 대한 명확한 진단기준이 정립되진 않았습니다. 때문에 여러가지 진단기준이나 방법들이 사용되는데요. 첫번째로 갑작스러운 어지럼증이 빙빙 도는 양상으로 생깁니다. 두번째로 귀가 먹먹해지거나 이명이 들리는 달팽이관 증상은 없어야 합니다. 세번째로 귀속에 차갑고, 뜨거운 공기를 넣어 검사하는 온도안진검사상에서 반고리관의 기능저하나 기능소실이 확인되어야 합니다. 네번째로 뇌경색과 같은 머리 자체의 문제로 인한 어지럼증의 소견이 없어야 합니다. 

 

 

두부회전검사와 두부충동검사

 

  특히 전정신경염 진단에 있어 가장 중요한건, 뇌경색(중풍)같은 머리 자체의 문제로 인한 어지럼증과 정확히 구분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병원에서 자세하게 환자의 신체검사와 병력을 들어야 하고, 머리를 빠르게 돌려서 확인하는 두부충동검사 (Head impulse test) 상에서 전정신경염에 부합한 양성반응이 나와야 합니다. 이러한 신체진찰 소견들을 종합하여 전정신경염을 진단내려야 하는데, 간혹 뒤늦게 전정신경염과 뇌경색이 같이 온 경우들도 있기에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전정신경염은 대부분 진료실에서 시행하는 신체검사로 어느정도 추측이 가능합니다. 대부분 환자들은 스스로 걷지 못할정도로 갑작스러운 어지럼증으로 패닉에 빠집니다. 심한경우 스스로 걷지 못할정도로 어지러워서 부축을 받아야 합니다. 특히 가만히 서있거나 걸을때에도 한쪽 방향으로 자꾸 쓰러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는 한쪽 전정기능의 마비로 몸의 평형을 잡지못하고 양측의 근긴장이 불균형하게 되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러한 신체 밸런스의 무너짐 현상은 정자세로 가만히 서있게 하는 롬버그 검사, 앞으로 몇발자국 걸어보게하는 일자보행검사 및 제자리걷기 검사 등을 통해서 체크가 가능합니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전정신경염의 신체검사는 바로 두부회전검사(Head shaking test)와 두부충동검사(Head impulse test) 입니다.

  두부회전검사는 환자의 머리를 좌우로 빠른속도로 10초간 흔들어본 후에 나타나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보는 검사입니다. 만일 전정신경염이 생긴 경우, 병변의 반대방향으로 통통 튀는 눈동자의 움직임(안진)을 확인 가능합니다. 이러한 안진현상은 병변측으로 바라보면 약해지고, 병변 반대측을 바라봤을때 더 심해지는 특징을 보입니다. 

 

  두부충동검사는 눈동자를 정면으로 고정한 후에, 환자의 머리를 갑자기 빠르게 돌려서 평형기관에 자극을 주는 검사입니다. 고개가 돌아가더라도 정면에 시선을 고정하여 사물을 안정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능을 전정안반사(vestibulo ocular reflex) 라고 합니다.

 

  만일 한쪽 전정신경염에 걸리는 경우, 전정안반사의 균형이 무너지게되고, 고개를 회전시켰을때 반사적인 안구의 움직임도 떨어지게 됩니다. 다시말해 전정신경염 환자가 정면을 응시하고 있더라도, 고개를 돌리면 눈동자도 똑같이 고개를 따라 돌아가게 됩니다. 이런 경우 다시 정면을 보기위해 눈을 원래 위치로 움직이는 교정성 단속운동(corrective saccade) 양성반응이 환자에게 나카나게 됩니다. 의사는 환자 눈동자의 미세한 반응을 체크하여, 전정신경염의 여부를 판달할 수 있게 됩니다.

 

  대부분의 전정신경염은 한쪽에서만 발생하기 때문에, 병변측에서는 교정성 단속운동이 발생하지만, 정상측에서는 정상적이니 시선고정을 확인할 수 있게 됩니다. 중요한점은 만약 환자의 눈동자가 한쪽으로 통통 튀는 자발적인 발견되었는데, 두부충동검사에서는 교정성 단속운동이 확인되지 않는다면, 반드시 MRI 검사를 통해서 뇌쪽의 병변이 아닌지 확인이 필요합니다. 뿐만아니라 신체진찰상으로는 저명한 전정신경염 소견을 보이더라도, 극심한 어지럼증이 계속 지속된다면 뇌경색을 동반한 전정신경염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이처럼 전정신경염은 세심한 주의가 필요한 질환이 되겠습니다.

 

 

 전정신경염의 진단 (2) 평형기능검사

 

  평형기능검사는 전정기능검사로 불리기도 하며, 전정신경염에 의한 한쪽 평형기능의 마비상태를 확인하기위한 용도로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검사실 규모에 따라 시행하는 검사의 종류가 일부차이는 보일 수 있지만, 많은 병원들에서 전기적 안구운동검사, 양온교대 온도안진검사를 시행합니다.

 

비디오 안진검사와 양온교대 온도안진검사

 

  먼저 안구운동검사(Nystagmography)는 전기안진검사나 비디오안진검사 등을 이용해서 환자의 눈동자 움직임(안진)을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가만히 있을때 튀는 자발안진, 머리를 움직이거나 흔든 후에 확인하는 두위안진, 두진후안진 을 통해서 나타나는 눈동자의 미세하나 움직임을 캐치하여 컴퓨터로 기록하게 됩니다. 또한 검사화면에 보이는 점을 따라가는 시추적검사나 움직이는 화면을 보게하여 안구운동을 확인하는 시운동안진검사 등을 통해서 평형기능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양온교대 온도안진검사(Caloric test)는 뜨겁고, 차가운 공기나 물을 고막근처에 분사하여 시행하는 검사입니다. 이러한 자극을 통해 어지럼증을 유발하고, 여기서 나타나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수치화 시켜서 평형기능의 마비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검사를 통해 전정신경염이 발생한 부위의 반고리관 마비 및 정상측을 향하는 안진의 방향우위를 분석하게 됩니다.

 

  그외에도 평형기능을 확인하기위한 회전검사, 동적자세검사, 근전위검사 들이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장비에 대한 공간적, 비용적 한계로 모든 검사들을 전부갖춘 곳은 드뭅니다. 따라서 정확한 평형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신체진찰이 그만큼 중요하고, 만약 머리(뇌)의 문제가 의심된다면 반드시 빠른시기에 MRI 등의 검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합니다.

  • 카카오톡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 공유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