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대, 60대 아재백신에 대한 혈전 부작용들이 이미 보고되었지만 다행히 지금까지는 30,40대의 젊은 연령대에서 많이 접종하지 않았기때문에 큰 이슈가 이어지진 않았습니다.
하지만 화이자, 모더나 접종이 본격화되자 점점 국내로 들여온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이하 AZ백신)이 남아돌기 시작하면서, 일각에서는 30대와 40대에게 잔여백신을 맞도록 권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인터넷에서 잔여백신 검색만해도 아재백신은 남아돌고 있기에 이걸 맞을까 말까 고민하는 30-40대분들이 계실겁니다. 이런분들을 위해 아스트라제네카를 본격적으로 접종한 영국의 안전보건청 (HSE, Health and Safety Excutive)에서 공식 발표한 자료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영국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접종자
혈전 부작용 (뇌경색, 사지마비, 영구적인 손발저림) 조사 결과
- 영국 안전보건청 (HSE, Health and Safety Excutive)
접종연령이 50세 이상일 경우
10만명중 1명꼴로 혈전 부작용
이보다 낮은 연령인
30, 40대 AZ 백신 접종자의 경우
부작용 가능성이 2배 높은
5만명당 1명꼴로 혈전 부작용
이렇게 혈전 부작용으로 진단받은
환자들중 25%는 사망 (5명당 1명꼴)
혈전 부작용은 주로 1차접종때 많이 나타나는 경향을 보임
<참고자료>
영국 안전보건청 참고자료 https://www.hse.gov.uk/
안전 보건청 산하 코로나 정보센터 https://www2.hse.ie/
여기서 혈전부작용 이란?
- 백신 접종이후, 혈관에 피떡이 생기면서 혈관을 점점 막아버리는 현상입니다.
- 만일 중요장기인 뇌, 폐, 신경으로 가는 혈관이 막힌다면 사망에 이를수도 있습니다.
위의 자료에서 기억해야할건 30-40대 아재백신 이후 혈전증에 걸렸을때 사망할 확률이 25%에 이른다는 사실입니다. 미세 혈전증은 약물을 투여하여 치료할수 있으나 사망까지 이르는 혈전증은 주로 뇌경색과 뇌출혈 그리고 전신 혈전증에 인한 장기손상입니다
한번의 클릭으로 바로 아재백신을 맞을수 있지만 자칫하면 아무도 책임져주지 않는 백신 후유증을 달고 살아야 합니다. 심사숙고 하셔서, 가급적 화이자 혹은 모더나 백신으로 가는게 현재까지는 더 나은 판단으로 보입니다.
댓글